top of page

Gyeongbuk Agricultural Food Distribution
Education Center

Gyeongbuk Agricultural Food Distribution Education Center

’한국형’ 신도시의 경관과 공공성 

대지는 경북도청신도시 지구단위계획 서측에 준주거 업무용지에 위치해 있다. 주변으로 법무보호복지공간, 복합 커뮤니티센터, 경찰기동대가 근접해 있으며 이외에는 구획된 나대지 상태이다. 주변이 무엇으로, 어떤 규모로 채워질까에 대해 알 수 없는 상태에서 계획의 시작은 기존에 보여졌던 한국 신도시의 전형에 대해 고찰로 시작한다. 대동소이한 매뉴얼이 만들어 낸 준주거, 상업지역 업무용지의 ‘복제식’ 도시조직과 풍경은 이곳의 미래상을 선험적으로 예측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새롭게 건립될 공공건축이 어떠한 반성적 시도를 담고 있어야 하는가를 암시해준다.

주변을 매개하는 차별화된 장소성

교차로에서의 진입성, 주차연계 등 필연적 요건의 충족 후 남는 질문은, 결국 본사업이 지닌 기회비용을 어떻게극대화하는가이다. 인구감소로 진화속도의 예측이 어려운 지방도시의 숙명적 상황은 ‘공공기관’이라는 기능적 의미를 넘어, 가고싶은 이유가 생기는 매력을 지닌 장소성의 생성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이에 대한 제안으로, 고밀화할 주변환경에 반응하여 더욱적극적인 관계를 맺는 매개로서의 특화영역을 건물과 가로변 접점에 제안한다.   

새로운 열림  _ 일상의 품격

- 국민소득증가, 생활 및 의식수준 향상에 따른 공간욕구의 증대로 양적 ‘풍족’에 이은 질적 ‘품격’이 공공건축의 새로운 화두로 부상


- 기능적 ‘건물’ , 행정적 ‘관공서’의 차원을 넘어 영감을 제공하는 감성적 ‘공간’으로 농촌융복합 시대에 걸맞는 경험적 공공성 확보

Project Facts

대지위치 : 경북 예천군 호명면 금능리 740, 742

프로그램 : 공공업무시설, 교육연구시설

대지면적 : 9,989㎡

건축면적 : 1,885㎡

연  면  적: 4,405㎡​

규      모 : 지하1층 지상3층

설계년도 : 2024년 (설계공모 응모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