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sangmun 1-dong Public Complex Building

Ssangmun 1-dong Public Complex Building

집단 거주성에 반응하는 차별화된 공공성

 

덕성여대 후면에 인접해 있는 대지는 4면중 3면이 기숙사로 이루어진, 나름 확연한 정체성을 지닌 영역속에 포함되어 있다. 캠퍼스와 경계를 이루는 적벽의 띠는 왕복2차선 우이천로의 주요한 분위기를 이루고 벽돌의 건물과 함께 주변부를 포근하게 감싸준다. 시각적 차폐를 위한 기숙사 창문의 차양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형상의 구현을 바라는 은유를 내포한다. 이에 더하여 대지와 더욱 접해 있는 푸른미래관(경기도 장학관)의 개구부는 사적 폐쇄욕구와 공적인 개방의 열망이 적절히 조율된, 중성화된대응관계를 더욱 집요하게 요구한다. 인접 주변부로의 시각적 개방이 제한된 상태에서 저층의 도시밀도와 서측 백운대를 향한 열린 풍경은 새로운 경관을 만들면서 주변과의 물리적 관계들을 자연스럽게 맺어주는 가장 결정적 단서가 된다.

Community Nest

새로운 열림  _ 일상의 품격

기능적 ‘건물’ 행정적 ‘청사’를 넘어 영감을 제공하는 감성적 ‘공간’으로서의 공공복합체

몰입 _ 경계가 만드는 차별화된 공공성 

주변풍경을 매개하는 담장역할의 1.8m가벽을 통해 안으로는 북한산을 비추는 풍경의 틀이 되고 밖으로는 거주영역의 정적인 프라이버시 확보

공간력 _ 호기심의 틈새

기하학적 외벽에 절제된 곡선의 비움을 병치시켜 긴장감을 일으키고 주변부에서 보여지는 독특한인상으로 접근하고 싶은 호기심을 유발 

 

장소성 _ 순백의 배경과 새로운 녹색풍경

벽으로 위요된 테라스는 인접한 실내의 휴식공간이되고 식재된 식물들의 실루엣을 통해 고밀의 가로변에 자연적 요소를 추가

Project Facts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443-15외 6필지

프로그램 : 업무시설(공공청사), 운동시설

대지면적 : 2,979㎡

건축면적 : 1,160㎡

연  면  적: 6,440㎡

규      모 : 지하1층, 지상6층

설계년도 : 2024년 (설계공모 응모작)

bottom of page